프록시 도구를 설정할 때 우리는 127.0.0.1 의 IP주소로 설정하게 된다. 이 주소는 무엇일까.
네트워크에서 127.0.0.1 이 주소를 특수한 주소로 지정하고 있다.
루프백(loopback)주소, 로컬호스트(localhost) 주소라고도 불린다.
루프백(loopback): 전기신호의 라우팅,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 등의 흐름이 의도적인 가공이나 수정 없이 원래의 장치나 장비로 돌아가는 것.
127.0.0.1을 목적지 IP로 설정하면 본인이 패킷을 다시 받게된다.
그래서 루프백 주소라고 부르는 것이다.
간단하게 내 컴퓨터 주소라고 생각하면 된다. 다른 컴퓨터에서는 이 주소에 접근할 수 없다.
(내 IP가 192.168.16.16(임의의 값 지정) 이고 127.0.0.1로 패킷을 보낸다고 하면 내 IP 인 192.168.16.16으로 패킷이 온다는 것.)
아까 localhost주소라고 불린다고 말했지만,
127.0.0.1:443으로 접속한 것과 localhost:443으로 접속한 것이 완전히 동일하다고 말할 순 없다.
127.0.0.1은 IP
localhost는 도메인 네임이라고 생각하면 된다.
IPv4체계에선 127.0.0.1
IPv6체계에선 0.0.0.0.0.0.0.1 요약해서 ::1이라고 표기한다.
[참고사이트]
https://woo-dev.tistory.com/190
https://velog.io/@mquat/http-localhost-127.0.0.1-%EA%B7%B8%EB%A6%AC%EA%B3%A0-IP
https://velog.io/@lky9303/127.0.0.1-%EA%B3%BC-localhost%EC%9D%98-%EC%B0%A8%EC%9D%B4
https://change-words.tistory.com/entry/127001-%EC%82%AC%EC%9A%A9%EC%9D%B4%EC%9C%A0
'보안 > 기본 지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OWASP TOP 10 정리 - WEB 2021 버전 항목 설명(최신) (3) | 2024.10.19 |
---|---|
코딩 및 보안 관련 지식 습득 및 실습 사이트 정리 (2) | 2024.09.24 |
HSTS(HTTP Strict-Transport Security, RFC 6797) 개념 (0) | 2024.03.20 |
잘 알려진 포트 (Well-Known port) 정리 (0) | 2024.02.17 |
Command & Control (C2) 개념 정리 (0) | 2024.01.25 |